2025년 중위소득 기준을 완벽 정리했습니다. 중위소득이란 무엇인지부터, 퍼센트별 기준표(50%, 60%, 100%, 120%, 150%) 내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건강보험료 기준을 통해 중위소득을 확인하는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직접 비교도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과 관련된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5 퇴직금 연금 전환 총 정리
정부는 2025년부터 퇴직금을 일시금이 아닌 연금 방식으로 지급하는 퇴직연금 의무화 제도를 본격 시행합니다.노후소득 보장과 퇴직금 체불 예방을 위한 제도 개편으로, 근속 3개월 이상이면 연
blog2.monyinfor.com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최대 55만원 지급)
2025년 대한민국 정부가 전 국민에게 최대 55만원을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을 본격 시행합니다.7월 21일부터 1차 지급이 시작되며, 소득·지역 조건에 따라 2차 지급도 진행될 예정입니
blog2.monyinfor.com
2025 의료급여 신청방법 총 정리(+부양의무자 폐지, 신청서 첨부)
2025년 의료급여는 일부 제도가 개편되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대한 오해가 많고, 실제 신청과 선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도 많습니다.아래
blog2.monyinfor.com
1.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의 소득을 높이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가구의 소득입니다.
- 2025년 기준은 보건복지부에서 2024년 8월에 고시
- 각종 복지 정책(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의 기준으로 사용
가구원 수별로 매년 다르게 책정되며, 전체 평균소득이 아닌 ‘중앙값’입니다.
2. 중위소득 확인 방법
내가 중위소득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월 소득으로 직접 확인
→ 아래 중위소득 기준표와 본인 가구 소득을 비교해 퍼센트 계산
예) 4인 가구, 월 3,000,000원 → 중위소득 100%(6,097,773원)의 약 49.2%
2.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보험료 조회' → 아래 기준표와 대조
5. 2025년 중위소득 퍼센트별 기준표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중위소득 퍼센트별 기준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수 | 50% | 60% | 100% | 120% | 150% |
---|---|---|---|---|---|
1인 | 1,196,007 | 1,435,208 | 2,392,013 | 2,870,416 | 3,588,020 |
2인 | 1,966,329 | 2,359,595 | 3,932,658 | 4,719,189 | 5,898,987 |
3인 | 2,512,677 | 3,015,212 | 5,025,353 | 6,030,423 | 7,538,030 |
4인 | 3,048,887 | 3,658,664 | 6,097,773 | 7,317,327 | 9,146,660 |
6. 2024년 vs 2025년 중위소득 비교
2024년 대비 2025년 중위소득은 약 6~7% 상승하였으며, 물가상승 등 요인을 반영하여 중위소득 기준금액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가구 수 | 2024년 | 2025년 | 증가율 |
---|---|---|---|
1인 | 2,228,445원 | 2,392,013원 | +7.34% |
4인 | 5,729,913원 | 6,097,773원 | +6.42% |
7.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중위소득 확인
- 중위소득 60% → 보험료 약 129,700원 이하
- 중위소득 100% → 약 219,196원
- 120% → 약 263,035원
- 150% → 약 328,794원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료 납부액 조회 → 위 수치와 비교
8. 민생지원금 상위소득 10% 기준
소득 상위 10%는 일부 정책지원(민생지원금, 소비쿠폰 등)에서 제외됩니다.
- 직장가입자: 월 보험료 273,380원 초과
- 지역가입자: 월 보험료 450,000~500,000원 이상
- 연소득: 9,600만 원 이상 추정
보험료 외에도 금융소득, 부동산 자산 기준도 함께 고려됩니다.
9. 중위소득 적용 분야 (복지정책 활용)
- 생계급여 – 중위소득 30~32% 이하 대상
- 의료급여 –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 중위소득 45~48% 이하
- 교육급여 – 중위소득 50% 이하
- 차상위계층 지원 – 보통 중위소득 120% 이하
- 기초연금 · 한부모가족 · 청년월세지원 등 다양한 지원에 사용
10. Q&A 자주 묻는 질문
- Q: 중위소득 120% 이하도 혜택이 있나요?
A: 차상위계층 관련 복지 혜택에 해당됩니다. - Q: 보험료가 얼마여야 중위소득 60%인가요?
A: 4인 기준 약 129,700원 이하면 해당됩니다. - Q: 상위소득 10% 판정 기준은?
A: 보험료 + 자산 + 소득 기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